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 요즘 장애인 복지에 대한 관심이 정말 많아진 것 같아요. 저도 예전에는 막연하게만 알고 있었는데, 직접 찾아보고 주변 분들 이야기를 들어보니 생각보다 더 많은 지원과 기회가 있더라고요. 우리 주변에 함께 살아가는 소중한 이웃들이 더 나은 삶을 누리도록 돕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오늘은 장애인 복지의 종류부터 등록 절차, 그리고 다양한 지원 내용까지, 제가 직접 알아본 모든 것을 여러분과 공유하려고 해요!
어떤 장애가 있을까요? (장애 종류) 📝
우선, 장애는 크게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로 나눌 수 있어요. 법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나누고 있는지, 좀 더 자세히 살펴볼게요!
대분류 | 중분류 | 장애유형 | 장애내용 |
---|---|---|---|
신체적 장애 | 외부신체 기능장애 | 지체장애 | 절단장애, 관절장애, 지체기능장애, 변형 등의 장애 |
뇌병변장애 | 중추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복합적인 장애 | ||
시각장애 | 시력장애, 시야결손장애 | ||
청각장애 | 청력장애, 평형기능장애 | ||
언어장애 | 언어장애, 음성장애, 구어장애 | ||
안면장애 | 안면부의 추상, 함몰, 비후 등 변형으로 인한 장애 | ||
내부기관 장애 | 신장장애 | 투석치료 중이거나 콩팥을 이식받은 경우 | |
심장장애 |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심장기능 이상 | ||
간장애 |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간기능 이상 | ||
호흡기장애 |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호흡기기능 이상 | ||
정신적 장애 | 지적장애 | 지능지수(IQ)가 70이하인 경우 | |
정신장애 | 조현병, 분열형정동장애, 양극성정동장애, 반복성우울장애 | ||
자폐성장애 | 자폐증, 고기능자폐증, 아스퍼거증후군, 레트증후군, 아동기붕괴성 장애 |



장애인 등록, 어떻게 하나요? 💡
장애인 등록 절차가 복잡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사실 차근차근 따라 하면 어렵지 않아요! 제가 단계별로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단계 | 내용 | 담당 기관 |
---|---|---|
상담 | 장애인등록 상담 및 구비서류 안내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구비서류 발급 | 장애정도진단서 및 구비서류 발급 | 해당 의료기관 |
신청 및 접수 | 구비서류 제출 및 접수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의뢰 | 국민연금공단에 장애정도심사 요청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심사 | 장애정도 심사 | 국민연금공단 |
지자체 결과통보 | 심사결과 읍면동 통보 | 국민연금공단 |
결과 통지 | 심사결과 확인 및 대상자 통보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모든 과정은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친절하게 안내받을 수 있으니, 궁금한 점은 언제든 방문하거나 전화해보세요! 😊



든든한 지원! 장애인 연금 및 수당 💰
장애인분들의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 다양한 연금과 수당이 지급되고 있어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또 어떻게 신청하는지 자세히 알아볼까요?
장애인 연금
- 신청대상: 만 18세 이상 '장애인연금법상 중증장애인'(종전 1급, 2급, 3급 중복장애)
- 선정기준: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단독가구 138만원, 부부가구 220.8만원 - 2025년 기준) 이하인 자
구분 | 연령 | 장애인연금 | ||
---|---|---|---|---|
계 | 기초급여 | 부가급여 | ||
기초(재가) | 18~64세 | 432,510 | 342,510 | 90,000 |
65세이상 | 432,510 | - | 432,510 | |
기초(보장시설) | 18~64세 | 342,510 | 342,510 | |
65세이상 | 0/80,000 | - | 일반:미지급, 특례:80,000원 | |
차상위 (주거,교육포함) | 18~64세 | 422,510 | 342,510 | 80,000 |
65세이상 | 80,000/150,000 | - | 일반:80,000원, 특례:150,000원 | |
차상위 초과 | 18~64세 | 372,510 | 342,510 | 30,000 |
65세이상 | 50,000 | - | 50,000 |
*연금액은 개인의 소득인정액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해주세요!
- 신청장소: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신청기간: 연중 수시
장애수당
- 신청대상: 만 18세 이상 '장애인연금법상 중증장애인'에 해당하지 않는 자(종전 3~6급)
- 선정기준: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기준중위소득 50% 이하, 2025년 기준)
구분 | 기초생활수급자 | 차상위계층 | 보장시설수급자(생계,의료) |
---|---|---|---|
지원액 | 6만원 | 6만원 | 3만원 |
- 신청장소: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신청기간: 연중 수시
장애아동수당
- 신청대상: 만 18세 미만 등록 장애아동
- 선정기준: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기준중위소득 50% 이하, 2025년 기준)
구분 | 기초생계·의료 수급자 | 기초주거·교육수급자, 차상위계층 | 보장시설수급자(기초생계·의료) |
---|---|---|---|
중증장애인 | 월 22만원 | 월 17만원 | 월 9만원 |
경증장애인 | 월 11만원 | 월 11만원 | 월 3만원 |
- 신청장소: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신청기간: 연중 수시
생활 속 편리함! 장애인 편의증진 🚗
일상생활에서 장애인분들이 좀 더 편리하게 지낼 수 있도록 다양한 편의증진 제도가 마련되어 있어요. 특히, 주차와 통행료 할인이 대표적이죠.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우리 모두의 약속!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은 보행 장애인의 이동 편의를 위해 꼭 지켜져야 하는 공간이에요.
단속대상 | 과태료 | 비고 |
---|---|---|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위반 | 10만원 | 표지 미부착 또는 보행상 장애인 미탑승 시 |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방해 | 50만원 | 물건 적치, 통행 방해, 2면 이상 침범 등 |
장애인차량표지 위·변조 및 부당 사용 | 200만원 | (양도 및 대여 포함) |
표지 발급은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연중 수시로 가능하며, 공영주차요금 할인,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등의 혜택이 있어요!
장애인 차량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 신청대상: 장애인 자동차표지를 발급한 차량 (배기량 및 차종 제한 있음, 통합카드 발급 필요)
- 지원내용: 고속도로 통행료 50% 할인
- 신청장소: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장애인통합복지카드 신청)
- 신청기간: 연중 수시
경차와 영업용 차량(노란색 번호판)은 통행료 감면 대상에서 제외되니 꼭 확인하세요!



삶의 질을 높이는 복지 지원 🤝
장애인분들의 생활 안정과 자립을 돕기 위한 다양한 복지 지원이 존재해요. 진단비 지원부터 자립자금 대여까지, 정말 도움이 되는 내용들이 많죠!
장애정도 심사용 진단비 및 검사비 지원
- 신청대상: 생계·의료급여수급자 중 신규 및 재판정 등록 장애인, 재판정으로 재진단받는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 지원내용: 장애진단서 발급비용 일부 지원 (지적, 자폐, 정신장애 4만원, 기타장애 1만 5천원), 심사 검사비는 총 10만원 한도 내 실비 지원
- 신청장소: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신청기간: 연중 수시
여성장애인 출산비용 지원
- 신청대상: 출산(임신 4개월 이상 유산, 사산 포함)한 여성 등록장애인
- 지원내용: 태아 1인 기준 120만원 지급
- 신청장소: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신청기간: 연중 수시
장애인 자립자금 대여
- 신청대상: 기준중위소득 50% 초과 100% 이하 가구의 만 19세 이상 등록장애인
융자조건 | 이율 | 융자기간 |
---|---|---|
무보증 대출: 1,200만원 이내 (자동차 구입자금은 특수설비 부착 시 1,500만원 이내) | '21년 1분기 이전: 최고 연 3.0% | 5년 거치, 5년 상환 |
담보 대출: 담보 범위 내(5,000만원 이하) | '21년 2분기 이후: 최고 연 2.0% |
금융기관(국민은행) 여신규정에 따라 대여가 어려울 수도 있으니 꼭 상담해보세요!
- 신청장소: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신청기간: 연중 수시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
- 신청대상: 등록 장애인 (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언어, 심장, 호흡, 발달장애)
- 지원내용: 욕창예방방석 외 43종을 지원기준액 이내 지원 및 교부 (장애유형별 신청 품목 상이)
- 신청장소: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신청기간: 연중 수시
보조기기 지원 시기 및 규모는 매년 예산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어요.



나를 위한 활동 지원! 🚶♀️
혼자서 모든 것을 해결하기 어려울 때, 활동 지원 서비스가 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신체활동부터 사회활동까지 폭넓게 지원받을 수 있답니다!
장애인활동지원사업
- 신청대상: 만 6 ~ 65세 미만 '장애인복지법'상 등록 장애인
- 지원내용: 활동보조(신체, 가사, 사회활동), 방문목욕, 방문간호
- 지원기준: 인정조사 결과에 따른 1~15구간 차등 지원 (소득기준에 따라 본인부담금 차등)
- 신청기간: 연중 수시
- 신청장소: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활동지원 제공기관 (김천시)
사업기관명 | 주소 | 연락처 | 지원내용 |
---|---|---|---|
김천장애인종합복지관 | 김천시 환경로 136-6 | 054-434-2400 | 활동보조 |
김천부곡사회복지관 | 김천시 문지왈길 68 | 054-439-0160 | 활동보조 |
효민노인복지센터 | 김천시 황산로 60 | 054-435-2295 | 방문목욕 |
활동지원사 교육기관 (경북)
사업기관명 | 주소 | 연락처 |
---|---|---|
상주시장애인종합복지관 | 상주시 만산8길 11 | 054-534-6933 |
칠곡여성인력개발센터 | 칠곡군 왜관읍 평장2길 20 | 054-973-7016 |
사)경북장애우권익 문제연구소 | 경산시 경산로 136-4층 | 053-818-7447 |
사)한국지체장애인협회경북협회안동시지회 | 안동시 충효로 4462, 성지빌딩 4층 | 054-856-4422 |
포항YMCA여성인력개발 센터 | 포항시 남구포스코대로 358, 일선빌딩 3층 | 054-278-4410 |



우리 아이를 위한 특별한 지원! 장애아동·발달장애인 지원 👨👩👧👦
장애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 그리고 가족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지원도 풍성하게 마련되어 있어요. 우리 아이에게 맞는 서비스를 꼭 찾아보세요!
발달재활서비스
- 신청대상: 만 18세 미만 등록 장애아동 (시각, 청각, 언어, 지적, 자폐성, 뇌병변)
- 지원내용: 언어, 청능, 미술심리재활, 음악재활, 행동, 놀이심리, 재활심리, 감각발달재활, 운동발달재활, 심리운동 등
서비스 가격 (정부지원금 및 본인부담금)
소득수준 | 바우처지원액 | 본인부담금 |
---|---|---|
기초생활수급자 (다형) | 월 25만원 | 면제 |
차상위 계층 (가형) | 월 23만원 | 2만원 |
차상위계층초과 ~ 기준중위소득 65% 이하 (나형) | 월 21만원 | 4만원 |
기준중위소득 65%초과 ~ 120% 이하 (라형) | 월 19만원 | 6만원 |
기준중위소득 120%초과 ~ 180% 이하 (마형) | 월 17만원 | 8만원 |
- 신청기간: 연중 수시
- 신청장소: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발달재활서비스 제공기관 (김천시)
사업기관명 | 주소 | 연락처 |
---|---|---|
맘(MOM)언어심리상담센터 | 김천시 신양1길 32 (신음동, 4층 402호) | 054-435-7642 |
한별나무 심리상담센터 | 김천시 혁신1로 81, 3층 311호(율곡동) | 054-437-1102 |
티울발달연구소 | 김천시 아포대로 33(덕곡동) | 054-436-3330 |
한결아동발달센터 | 김천시 평화순환길 25, 101호(평화동) | 054-433-2869 |
마리심리언어발달센터 | 김천시 혁신 4로 81, 401호(율곡동) | 054-910-6309 |
하모니 예술치료센터 | 김천시 시청로 40, 202호(신음동) | 054-434-7075 |
참소중한발달센터 | 김천시 신음새동네길 74, 3층(신음동) | 054-433-0852 |
박정해아동청소년발달센터 | 김천시 신음새동네길 1, 502호 (신음동) | 054-435-7565 |
한국행복가족상담센터 | 김천시 영남대로 2061(덕곡동) | 054-430-8225 |
GOOD발달지원센터 | 김천시 삼락택지2길 34(삼락동, 세광에비앙) | 054-435-7009 |
푸름아동청소년발달센터 | 김천시 부곡길 82(부곡동) | 054-436-7989 |
함아치료교육센터 | 김천시 시청로 65(신음동) | 054-435-7556 |
율곡아동발달연구소 | 김천시 혁신6로 20,2층 201호(율곡동) | 054-810-7221 |
언어발달지원사업
- 신청대상: 만 12세 미만 비장애아동 (한쪽 부모 및 조손가정의 한쪽 조부모가 시각, 청각, 언어, 지적, 자폐성, 뇌병변 등록장애인) 중 중위소득 120% 이하인 자
- 지원내용: 언어재활, 청능재활, 독서지도, 수어지도 등
- 지원금액: 월 16~22만원 바우처 지원 (소득기준에 따라 본인부담금 차등)
- 신청기간: 연중 수시
- 신청장소: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언어발달지원사업 제공기관 (김천시)
사업기관명 | 주소 | 연락처 |
---|---|---|
맘(MOM)언어심리상담센터 | 김천시 신양1길 32, 402호 | 054-435-7642 |
푸름아동청소년발달센터 | 김천시 부곡길 82, 1층 | 054-436-7989 |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 신청대상: 만 18세 이상 65세 미만 성인발달장애인 (지적, 자폐성)
- 지원내용: 소그룹(2~4인)을 구성하여 제공기관 및 외부 협력기관을 통한 주간활동
- 제공시간: 기본형(132시간), 확장형(176시간)
- 신청기간: 연중 수시
- 신청장소: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제공기관 (김천시)
사업기관명 | 주소 | 연락처 |
---|---|---|
사)경상북도장애인부모회 김천시지부 | 김천시 매목1길 65, 311호(응명동) | 054-431-9802 |
김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 | 김천시 환경로 136-6(대광동) | 054-434-2400 |
발달장애학생 방과후 활동서비스
- 신청대상: 만 6세 이상 18세 미만 일반 중·고등학교 및 특수학교 재학 중인 발달장애인
- 지원내용: 소그룹(2~4인)으로 취미, 여가, 자립 준비, 관람, 체험, 자조 활동 등
- 제공시간: 월 66시간
- 신청기간: 연중 수시
- 신청장소: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발달장애인 방과후 활동서비스 제공기관 (김천시)
사업기관명 | 주소 | 연락처 |
---|---|---|
㈜티울 | 김천시 아포대로 33 | 054-436-3330 |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지원사업
- 신청대상: 발달장애인 자녀의 부모 및 보호자
- 지원내용: 발달장애인 부모 및 보호자 상담 지원
- 지원금액: 1인당 월 최대 20만원 (본인부담금 4천원~4만원)
- 제공기간: 12개월 지원
- 신청기간: 추후 문의 (420-6276)
- 신청장소: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지원사업 제공기관 (김천시)
사업기관명 | 주소 | 연락처 |
---|---|---|
푸름아동청소년발달센터 | 김천시 부곡길 82(부곡동) | 054-436-7989 |
박정해아동청소년발달센터 | 김천시 신음새동네길 1, 502호 (신음동) | 054-435-7565 |
한국행복가족상담센터 | 김천시 영남대로 2061(덕곡동) | 054-430-8225 |
GOOD발달지원센터 | 김천시 삼락택지2길 34(삼락동, 세광에비앙) | 054-435-7009 |
함께 일하는 기쁨! 장애인 일자리 지원 💼
장애인분들의 회 참여와 자립을 위한 일자리 지원은 정말 중요한 부분이에요. 김천시에서도 다양한 일자리 사업을 운영하고 있답니다.
장애인 일반형 일자리 지원 (전일제/시간제)
- 신청대상: 만 18세 이상 '장애인복지법'상 등록 장애인
- 사업기간: 매년 1월 ~ 12월 (12개월)
- 근무기관: 시청 및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장애인복지관 등
- 주요직무: 행정 보조, 전담 지원 행정 도우미, 복지 서비스 지원 등
- 신청장소: 김천시청 사회복지과 (054-420-6276)
- 신청기간: 매년 12월 공개 모집 예정 (시청 홈페이지 공고)
장애인 복지 일자리 지원
- 신청대상: 만 18세 이상 '장애인복지법'상 등록 장애인
- 사업기간: 매년 1월 ~ 12월 (12개월)
- 근무기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장애인복지관 등
- 주요직무: 사무 보조, 환경 도우미, 급식 지원 등
- 신청장소: 수행기관 방문 접수 (2024년 수행기관 김천장애인종합복지관)
- 신청기간: 매년 11~12월 공개 모집 예정 (시청 홈페이지 공고)
장애인 고용지원사업 (김천시 자체사업)
- 신청대상: 만 18세 이상 65세 미만 '장애인복지법'상 등록 장애인
- 사업기간: 매년 1월 ~ 12월 (12개월)
- 수행기관: 김천장애인종합복지관
- 지원내용: 현장 훈련 등 고용 지원
- 신청장소: 수행기관 방문 접수
- 신청문의: 김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 (054-434-2400)



김천시 장애인 복지 현황 및 주요 시설/단체 🌐
김천시의 등록 장애인 현황과 다양한 복지 시설 및 단체 정보를 알려드릴게요. 도움이 필요할 때 망설이지 말고 찾아가 보세요!
등록 장애인 현황 (2025.5. 기준)
장애유형 | 심한장애 | 심하지않은장애 | 합계 |
---|---|---|---|
소계 | 3,801 | 6,549 | 10,350 |
지체 | 836 | 3,532 | 4,368 |
시각 | 152 | 744 | 896 |
청각 | 392 | 1,653 | 2,045 |
언어 | 33 | 34 | 67 |
지적 | 1,030 | - | 1,030 |
뇌병변 | 415 | 366 | 781 |
자폐성 | 112 | - | 112 |
정신 | 534 | 7 | 541 |
신장 | 243 | 87 | 330 |
심장 | 3 | 4 | 7 |
호흡기 | 24 | 4 | 28 |
간 | - | 50 | 50 |
안면 | 8 | 3 | 11 |
장루·요루 | 2 | 53 | 55 |
뇌전증 | 7 | 12 | 19 |
장애인 복지시설 (김천시)
명칭 | 전화 | 팩스 | 소재지 | 비고 |
---|---|---|---|---|
김천시시각장애인등생활지원센터 | 436-0714 | 436-0729 | 김천시 시청로 111, 3층(신음동) | |
김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 | 434-2400 | 439-9295 | 김천시 환경로 136-6(대광동) | gcwd.or.kr(홈페이지) |
김천시장애인주간보호센터 | 434-6181 | 434-6182 | 김천시 매목1길 65 (김천시장애인회관) | |
김천시수어통역센터 | 434-6181 | 434-6182 | 김천시 매목1길 65 (김천시장애인회관) | |
김천시중증장애인자립지원센터 | 437-2241 | 437-2243 | 김천시 어모면 어모로 544-4 | |
성요셉마을 | 435-4176 | 435-4175 | 김천시 남면 갈항길 320 | |
성요셉주간보호센타 | ||||
애훈장애인복지시설 | 430-1551 | 430-1561 | 김천시 봉산면 상금길 200-131 | |
즐거운 집 | 431-2354 | 430-2356 | 김천시 어모면 도암길 389-5 | |
늘사랑의집 | 436-8861 | 436-8862 | 김천시 대항면 황악로 1626-64 | |
혜담원 | 432-9258 | 431-9258 | 김천시 농소면 아포대로 152-107 | |
다온보호작업장 | 430-9494 | 434-2173 | 김천시 봉산면 광천5길 80 |
장애인 단체 (김천시)
단체명 | 대표자 | 소재지 | 연락처 |
---|---|---|---|
김천시장애인단체연합회 | 윤안숙 | 김천시 매목1길 65 (김천시장애인회관) | 433-9119 |
(사)경북시각장애인연합회 김천시지회 | 박기홍 | 436-0714 | 김천시 시청로 111, 3층(신음동) |
(사)경북지체장애인연합회 김천시지회 | 김길영 | 김천시 매목1길 65 (김천시장애인회관) | 433-5550 |
(사)한국교통장애인협회 김천시지회 | 맹점수 | 김천시 매목1길 65 (김천시장애인회관) | 435-8230 |
(사)경상북도장애인부모회 김천시지부 | 윤안숙 | 김천시 매목1길 65, 311호(응명동) | 431-9802 |
(사)한국농아인협회 경상북도협회 김천시지회 | 최종현 | 김천시 매목1길 65 (김천시장애인회관) | 434-6181 |
(사)경북지적발달장애인복지협회 김천시지부 | 김재경 | 김천시 매목1길 65 (김천시장애인회관) | 437-8811 |
(사)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경북협회 김천시지회 | 강동욱 | 김천시 매목1길 65 (김천시장애인회관) | 432-8668 |
(사)한국척수장애인협회 경상북도협회 김천시지회 | 이병율 | 김천시 매목1길 65 (김천시장애인회관) | 434-6686 |
(사)경상북도장애인권익협회 김천시지회 | 김상돈 | 김천시 매목1길 65 (김천시장애인회관) | 437-8118 |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 경북협회 김천지부 | 이정호 | 김천시 매목1길 65 (김천시장애인회관) | 436-8850 |
(사)한국농어촌장애인협회 경북지부 김천시지회 | 최태홍 | 김천시 매목1길 65 (김천시장애인회관) | 431-9911 |
(사)경북신체장애인협회 복지부 김천시지부 | 임채건 | 김천시 매목1길 65 (김천시장애인회관) | 437-9651 |
한눈에 보는 장애인 복지 핵심!
자주 묻는 질문 ❓
오늘은 장애 종류부터 등록 절차, 그리고 생활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복지 지원까지 정말 많은 정보를 공유해 드렸어요. 사실 저도 이 글을 쓰면서 몰랐던 부분을 많이 배우게 됐답니다. 우리 사회가 장애인분들과 비장애인분들 모두가 함께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따뜻한 공간이 되기를 바라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