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6

일본 원자폭탄 피해와 군대 위안부 문제 - 원자폭탄 피해자 구제문제 [ 원자폭탄 피폭자의 피해 ] 피폭자가 받는 피해는 방사선. 열선 등에 의한 신체적 피해뿐 아니라 신체적 장애에 의한 노동력상실과 소득의 저하, 가정의 해체 및 결손 가정으로 인한 아동. 부녀 문제, 질병의 후유증과 유전적 영향에 대한 두려움 등 생활 전반에 파급되었다. [ 일본인의 피해 ] 1945년 미국은 전쟁을 빨리 끝내기 위해 일본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을 투하하였는데, 그 당시 사망자수는 히로시마에서 14만 명, 나가사키에서 7만 명이 발생하였다. 생존자는 원폭피해자 수첩 소지자수에 따르면 1975년 35만 7000여 명이었다. [한국인의 피해] 한국의 원폭피해자도 상당하여 1972년 한국 원폭피해자협회가 조사. 발표한 바에 따르면 한국인 원폭피해자 7만 명.. 2024. 1. 21.
독도 문제의 발단, 국제법상 근거, 독도에 대한 일본측 주장 - 독도 문제의 발단 역사적으로 볼 때 독도 문제가 제기되는 가장 큰 이유는 조선 초 왜구의 출현을 막기 위한 공도정책 때문이다. 남해안 서해안의 섬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동해의 울릉도에 살던 사람들까지도 육지로 이주시키고 섬을 비워놓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울릉도와 독도는 어업자원이 풍부하다. 따라서 조선과 일본에서 양국민이 항상 도해하였고, 그로 말미암아 충돌이 일어났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안용복 사건이다. 1693년 여름 동래인 안용복이 고기잡이를 하러 울릉도에 갔는데, 마침 그곳에 일본의 조치현 사람들이 있었다. 당시 이들과 마찰이 발생하였고, 안용복은 일본영토에서 고기를 잡았다는 이유로 조치현에 붙잡혀갔다. 조치현에서 막부로 이송된 안용복은 막부장군에게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땅임을 항의하면서, 자신.. 2024. 1. 21.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 중학교 교과서의 왜곡 실태 - 교과서 편찬제도 일반적으로 교과서 발행방법에는 자유발행. 자유선택, 검정, 국정의 세 종류가 있으나, 일본은 검정제도를, 우리나라는 국정제도를 택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문부성이 검정제도를 채용하고, 검정권은 법적으로 문부성 또는 도도부현에 신설되는 공선제 교육위원회로 되어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문부성이 전적으로 검정권을 행사하고 있다. 일본의 교과서 발행과정을 보면 먼저 교과를 출판하고자 하는 회사가 사용개시 3~년 전에 기획회의를 열어 역사학자. 교육학자. 현직교사 중에서 편집. 집필자를 선정한다. 편집. 집필자는 학습지도요령의 편집협력자. 관제연구회 회원과 민간교육단체 회원 중에서 선정된다. 교과서가 집필되면 회사는 문부과학성에 검정을 신청하고, 검정을 신청한 교과서는 교과용 도서검정조사심의회에서.. 2024. 1. 19.
한국 근 . 현대사속의 한일 기본 조약의 체결 - 한일기본조약의 체결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한일 양국은 1949년 1월 19일 주일 한국연락대표부를 개설하였고, 1952년 2월 15일부터 한일수교회담을 시작했다. 조약의 교섭(한일회담)은 14년 동안 우여곡절을 겪었으며, 1965년 6월 최종단계에서는 두 나라에서 모두 야당과 학생 등의 강력한 반대운동이 전개되기도 하였다. 제1차 한일회담은 연합군 최고사령부 외교국장 시볼드의 중개로 1951년 10월 21일부터 열린 예비회담을 거쳐, 1952년 2월 15일부터 당시 한국의 정부와 일본의 요시다 시게루 내각 사이에 본회담이 시작되었는데, 쌍방의 주장이 크게 엇갈려 4월 21일 중단되었다. 제 2차 회담은 1954년 4월 15일에 열렸으나 평화선문제, 재일교포의 강제퇴거문제 등.. 2024. 1. 19.